* 모든 항목은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I. IntroductionⅡ. Background: Civil War of SyriaⅢ. The Emergence of HTS : A brief historyⅣ. Organization of HTS Ⅴ. Ideology, Goals, and Strategies Ⅵ.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Ⅶ. Conclusion
Ⅰ. 머리말Ⅱ. 우주안보 환경의 변화와 특성Ⅲ. 우주안보 국제규범 논의의 쟁점과 현안Ⅳ. 우주안보 협력의 전망과 과제 Ⅴ. 맺음말
Ⅰ. 문제의 제기 Ⅱ. 정체성에 대한 인정 추구로서의 공공외교 Ⅲ. 감성적 인정의 추구 - 문화외교 Ⅳ. 법적·정치적 권리의 추구 Ⅴ. 사회적 존경을 통한 인정 추구 Ⅵ. 사례 비교 및 한국에 대한 함의Ⅶ. 결론
Ⅰ. 서론Ⅱ. 등장 배경: 시리아 내전Ⅲ. HTS 출현의 추이Ⅳ. HTS 조직 구성Ⅴ. 이념, 목표, 전략Ⅵ. 내외 역학Ⅶ. 결론: 전망 및 함의
1. 문제제기2. AU 평화활동 개관3. AU 평화활동의 대표적 사례4. AU 평화활동의 함의5. 정책적 고려사항
1. 문제 제기2. 데이터 주권 논의의 현안과 쟁점3. 주요국 동향 및 정책4. 향후 전망과 시사점5. 정책적 고려사항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아중동연구부는 2020년 10월 16일(금) 15:00-18:00 간 중동 지역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하반기 중동 지역 정세 평가를 주제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