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외교협상사례 한국외교협상사례 총서 20권 『한국-러시아 수교협상(1990)』 엄구호 한양대학교 교수 발행일 2023-12-12 조회수 1555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이메일 보내기

* 모든 항목은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 받는 사람 이메일
* 컨텐츠 주소
* 제목
* 메시지


·소 수교는 미국과 일본 등 해양세력과의 협력으로 빠른 근대화를 이룬 한국이 대륙국가의 진정한 일원이 됨으로써 양 날개로 미래를 열어가는 출발선에 한국을 세웠다. ·소 수교가 어떠한 협상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그 결과는 의도한 정책목표와 일치했는지에 대한 사례 분석은 한국 외교사에 한 획을 그은 북방정책에 대한 심층적 이해는 물론 정책연구자와 실무자들이 향후 다른 외교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데 큰 교훈과 함의를 줄 것이다.
 
[차례]
 
간행사
서문
범례
 
. 서론
1. 연구의 의의
2. 사례 쟁점
3. 연구의 방법과 목표
 
. ·소수교의 시대적 배경과 북방정책
1. 4,5공화국의 한·소관계
2. 6공화국 북방정책
 
. ·소 수교의 협상전략과 교섭 과정
1. ·소수교 교섭의 전개과정
2. 한국과 소련의 협상 전략
3, 유관국의 입장
 
. ·소수교 협상 과정의 쟁점 분석
1. 비선외교
2. 원칙외교를 통한 영사처 설립
3. 차관공여의 정당성
4. ·소교섭과정에서 미국과의 의사소통
5. 저위정치와 고위정치의 연계성
 
. 소수교 평가에서의 쟁점 분석
1. 북방외교의 수사적 목표로서 교차승인
2. 북한고립에 의한 핵 위기 초래
3. ·소 수교 정신의 차기 정부 계승
 
. 결론
 
참고문헌
 
| 부록 |
 
자료목록 및 해제
[자료 1] 소연방상의와 KOTRA 상호협력합의(1988.12.1)
[자료 2] KOTRA 사무소에 대한 영사기능 부여 문제 법적 검토, 1989.1. 외무부
[자료 3] 북방외교추진협의회 규정, 대통령령 제12,671, 1989.3.11.
[자료 4] 남북 및 북방교류협력조정위원회 규정, 대통령령 제12,669, 1989.3.31.
[자료 5] ICRC Memorandum, 1957. 2.26. 북방교류협력조정위원회 의결번호 제4, 1989.4.
[자료 6] 89.6.10. 김영삼 통일민주당 총재와 IMEMO 공동 코뮤니케
[자료 7] Alexei Bogatunov and Mikhail Nosov, “Korean Aspect”, A Soviet Weekly of World Affairs, July 6-12, 1989.
[자료 8] 한소외무부 관계관 모스크바 협의 결과 보고 1989.7 외무부
[자료 9] 한소영사처 설치 싱가포르 합의문 1989.11.17
[자료 10] 주모스크바 대한민국영사처 설치 계획() 1989.12
[자료 11] 대한민국재외공관직제중개정령 1989.12.23
[자료 12] R소련 외무성과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주관으로 89.11.14 90.1.15 대한반도 정책회의 주요 내용
[자료 13] T영사처 설립과 관련한 대통령 지시사항(90.2.19 보고시)
[자료 14] 1990.3.28. 민자당과 IMEMO 공동 코뮤니케
[자료 15] 1990.6.4. 샌프란시스코 한소정상회담 합의문
[자료 16] 고르바초프 노태우 샌프란시스코정상회담 요록 1990.6.4.
[자료 17] 한소각료회담 정부대표단 훈령 1990.7
[자료 18] 한소경제회담 개최 보고 1990.8.
[자료 19] 1990.9.30. 한소외무장관회담 한·소수교 공동 코뮤니케
[자료 20] 1990.12.22. 한국과 소련간 무역협정
[자료 21] 모스크바 선언. 1990.12.14.
[자료 22] ·러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 1992. 11. 19
 
연표
찾아보기
 
 
 
* 책자 관련문의 : 외교사연구센터(dphistory@mofa.go.kr)
 
* 이 책은 집필자의 견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서 외교부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한 것입니다.
 
다운로드
한국외교협상사례 총서 20권.pdf
이전글
이전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메뉴 담당자 정보 안내
메뉴담당자연구행정과 전화02-3497-7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