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항목은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1. 문제제기 2. 인도양에서 전략 환경 변화와 인도의 대응 3. 인도양에서 해양 협력과 한·인도 협력4. 정책적 고려사항
1. 브릭스 확장의 맥락 2. 브릭스 확장의 지정학/지경학적 함의 3. 확장 이후 브릭스의 과제 4. 결어
1. 문제의 제기2. 한국·NATO 관계와 한국·NATO 2023~2026 ITPP 3. 일본·NATO 관계와 일본·NATO 2023~2026 ITPP 4. 정책적 고려사항
1. 문제 제기2. 미·중 전략적 경쟁의 주요 현황과 중국의 대응 3. 미·중 대화국면에 대한 현황 분석과 전망 4. 한중관계에 대한 함의 및 정책적 대응 방안
1. 바이드노믹스의 정치적 의미2. 정책적 함의
1. 문제 제기 2. 2017-2018년, 갈등의 시작: 중국의 내정간섭 문제와 호주 5G네트워크에서 화웨이·ZTE의 배제 3. 2018-2019년, 갈등의 고조: 중국의 해양에서의 군사적 팽창과 호주의 “퍼시픽 스텝-업(Pacific Step-up)” 4. 2020-2022년 4월, 갈등의 최고조: 코로나-19 발원지 국제조사 논란, 무역 분쟁, 그리고 호주의 국방력 강화 5. 중국 견제 정책 부상의 원인과 향후 대중정책 전망
1. 문제제기2. 인공위성의 군사적 운용3. 미국의 우주전략4. 한국의 현황5. 정책적 고려사항
1. 바이든 행정부와 대(對)중국 디리스킹2. 정책적 함의
Ⅰ. Forces Behind the G7 RegroupingⅡ. The G7 Bloc Shaped by the 2023 G7 Summit Ⅲ. The G7's New International Order Ⅳ. Policy Considerations for South Korea
1. 문제의 제기2. 미국의 수출통제 정책 변화의 주요 내용3. 다자통상체제에서의 수출통제 조치와 쟁점4. 이중용도 기술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의 특징과 시사점5. 정책적 고려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