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항목은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1. 서론2. 인태전략의 핵심 정책 기조3. 인태전략 이행 주요 성과 4. 향후 과제
1. Introduction 2. Unraveling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n Key Areas: Latest Developments and China’s Response3. Latest Developments in the U.S.-China Dialogue and the Future of U.S.-China Relations4. Implications for ROK’s Foreign Policy
1. 문제제기 2. 인도양에서 전략 환경 변화와 인도의 대응 3. 인도양에서 해양 협력과 한·인도 협력4. 정책적 고려사항
1. 브릭스 확장의 맥락 2. 브릭스 확장의 지정학/지경학적 함의 3. 확장 이후 브릭스의 과제 4. 결어
1. 문제의 제기2. 한국·NATO 관계와 한국·NATO 2023~2026 ITPP 3. 일본·NATO 관계와 일본·NATO 2023~2026 ITPP 4. 정책적 고려사항
1. 문제 제기2. 미·중 전략적 경쟁의 주요 현황과 중국의 대응 3. 미·중 대화국면에 대한 현황 분석과 전망 4. 한중관계에 대한 함의 및 정책적 대응 방안
1. 바이드노믹스의 정치적 의미2. 정책적 함의
1. 문제 제기 2. 2017-2018년, 갈등의 시작: 중국의 내정간섭 문제와 호주 5G네트워크에서 화웨이·ZTE의 배제 3. 2018-2019년, 갈등의 고조: 중국의 해양에서의 군사적 팽창과 호주의 “퍼시픽 스텝-업(Pacific Step-up)” 4. 2020-2022년 4월, 갈등의 최고조: 코로나-19 발원지 국제조사 논란, 무역 분쟁, 그리고 호주의 국방력 강화 5. 중국 견제 정책 부상의 원인과 향후 대중정책 전망
1. 문제제기2. 인공위성의 군사적 운용3. 미국의 우주전략4. 한국의 현황5. 정책적 고려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