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간자료 한국외교구술기록총서 『한국외교사 구술회의』 제2권 - 북방정책과 7·7선언 이홍구, 공로명 외 10인 작성일 2020-12-29 조회수 737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이메일 보내기

* 모든 항목은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 받는 사람 이메일
* 컨텐츠 주소
* 제목
* 메시지



구술시기: 2019년 11월 1일 ~ 11월 2일

구술자: 강근택 전 駐 우크라이나 대사, 공로명 전 외무부 장관, 구본태 전 국회의장 비서실장, 김달중 연세대 명예교수, 김석우 전 통일원 차관, 염돈재 전 성균관대 국가전략대학원 원장, 위성락 전 駐 러시아 대사, 유세희 한양대 명예교수, 이동복 제15대 국회의원, 이홍구 제28대 국무총리, 정태익 전 駐 러시아 대사, 최병효 전 駐 로스앤젤레스 총영사

면담자: 김지영 숭실대학교 교수, 신종대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엄구호 한양대학교 교수, 이정철 숭실대학교 교수, 전재성 서울대학교 교수, 조동준 서울대학교 교수
       


차례

발간사  
서문 
면담자 서문 
‘북방정책과 7·7선언’ 구술자 소개 


Ⅰ. 북방정책 수립과 동구권·소련 수교 

• 북방정책을 주도한 주역들이 한자리에 모인 귀중한 시간 

• 공산권연구협의회의 북방정책 의제 형성에 대한 기여 

• 노태우 대통령은 남북관계에 새로운 방향을 원했다

• 냉전 이후의 세계에 대비하기 위한 학계의 공산권연구협의회 

• 7·7선언 추진의 주 역할은 청와대와 중앙정보부 

•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통일방안 구상 

• 7·7선언 실무팀 구성과 운영 내용 

• 공산권연구협의회의 사회주의권 연구 확대

• 한소 수교를 지원하는 학계의 지속적 노력 

• 수교 전 헝가리와의 사전 정지 작업 

• 한독 학술회의를 계기로 동구권에 대한 연구 및 접촉 확대 

• 헝가리의 한국 수교에는 고르바초프의 의중 반영 

• 헝가리의 수교에 대한 유연한 입장

• 독일의 한독회의 중 전해진 북방정책에 대한 엠바고 

• 헝가리와 수교를 둘러싼 구체적인 막후 이야기들 

• 한소 수교에 대한 미국의 입장과 태도 

• 2002년 ‘ABM 사건’에서 반복된 외교적 파장

• 동구권 자금 제공에 대한 미국의 우려 

• 정보 채널과 정식 외교 채널 구분 

• 한소 정상회담 비화 

• 한소 정상회담 관련 대미 관계, 외교부 및 안기부 역할 

• 한소 수교 이전 소련과의 접촉 채널 

• 소련과 비밀 채널 가동으로 한소 정상회담 추진 

• 정상회담 준비 과정의 어려움 


Ⅱ. 북방정책 시행과 남북관계 

• 동경 채널을 통한 소련과 영사처 설치 추진 

• 소련과의 수교에 미국의 적극적 지원 

• 직접 수교론과 단계적 수교론의 혼선 계속 

• 영사처 설치 안의 급진전 

• 북방정책 및 민족자존에 대한 입장 

• 7·4공동성명 합의와 남북대화 

• 영사처와 무역사무소의 명칭 혼란 

• 수교 교섭단과 30억 불에 대한 논란 

• 북방정책 대강에 대한 언론 기고 

• 일본에서 본 북방정책 과정 

• 중국 어뢰정 사건 처리와 한중 수교 

• 북방정책에 대한 반성과 향후 과제 

• 교차승인이 진척되지 못한 원인 

• 7·7선언이 나오기까지의 실무 과정 

• 연방제 통일방안을 넘는 새로운 통일방안을 만들라 

• 7·7선언에 대한 북의 반발 

• 북한의 태도를 변화시키지 못한 아쉬움 

• 남북 UN 동시가입 허용과 중국의 전략 

• 북한 UN 동시가입 동의와 중국의 전략 

• 교차승인은 여전히 우리의 과제 

• 허담 면담 및 남북 접촉에서 북에 대한 전두환의 경고 

• 부처 간 정보 공유가 긴밀했던 미국 


Ⅲ. 북방정책 평가와 교훈 

• 소련의 한국 경협자금 주목 여부 

• 동구권과 수교할 때 경협은 패턴화된 형태 

• 정부의 일관된 입장은 선수교-후경협 

• 한일 국교정상화의 역사적 맥락에서 보는 경협과 수교 

• 폴란드에 대한 경협자금이 증액된 일화 

• 비선 외교로 풀었던 공공차관, 그리고 브라운 각서 

• 비선외교의 명암과 그 교훈 

• 중국은 경제 발전과 기술 습득을 위해 수교에 적극적

• 북방정책과 남북관계의 연계

• 통일 방안의 모색과 민족공동체론 부각 

•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이 나오기까지 

• 교차승인은 북방정책 초기부터 확고한 목표

• 통일 방안보다는 실질적 통일 여건 조성 중요 

• 북한의 핵사찰 거부가 교차승인을 가로막아 

• 북방정책의 시초는 1970년 8·15경축사 

• 독일의 통일 이후에 대한 준비 

• 북한의 위기감과 김용순-켄터의 뉴욕 회동

• 우리 사회는 교차승인을 실제 수용할 준비가 안됐다 

• 호주의 북한 승인과 6·23 선언의 관계 

• 북방정책은 북의 세력 확대 대응 전략 

• 교차승인 대신 북한 압박으로 전환 

• 북미 수교 조건, 그 현실적인 갭 

• 냉전 종식 후 남북관계는 여전히 제자리걸음

• 북방정책으로 인한 국내 여론 진정 

• 7·7선언의 영향이 1994년에서 멈춰서 

• 김일성 사후 무산된 남북 간 미해결 과제 

• YS 정부에서 북방정책이 약화된 이유 

• 4자회담에서 제외된 러시아의 불만 

• 러시아를 배제한 후폭풍은 푸틴 등장 이후 지속 

• 북미관계 개선에 대한 YS 정부의 시각 

• YS 정부시기 대북정책과 북한의 태도 변화 

• 일본- 가네마루 신의 방북 

• 기록을 남기는 것은 교훈을 얻기 위함 


찾아보기


* 해당 책자는 교보문고, Yes24 등 시중 서점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첨부파일없음
이전글
외교사연구센터, 한국외교사 제4·5차 구술회의 개최
다음글
한국외교협상사례 총서 5권 『1970년대 UN에서의 UNCURK 해체 문제』
메뉴 담당자 정보 안내
메뉴담당자연구행정과 전화02-3497-7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