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항목은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Ⅰ. 서론 Ⅱ. 러시아의 중국에 대한 평가와 전략적 입장Ⅲ. 러시아의 미국에 대한 평가와 전략적 입장Ⅳ. 결론
Ⅰ. 들어가며Ⅱ. 2021년 아프리카 지역 선거 개관Ⅲ. 2021년 아프리카 선거의 시사점 Ⅳ. 아프리카 지역 선거 전망Ⅴ. 정책적 고려사항
Ⅰ. 서론Ⅱ. 메콩 지역의 전략 환경Ⅲ. 주요 역외 중견국의 대메콩 협력 양상Ⅳ. 신남방정책 이후 한-메콩 관계 발전Ⅴ. 정책적 시사점
Ⅰ. 들어가며Ⅱ. 미국의 디커플링 압력과 중국의 ‘쌍순환’ 대응Ⅲ. 중국의 국가자본주의와 기술굴기Ⅳ. 중국 기술굴기의 굴절Ⅴ. 함의와 우리의 대응
Ⅰ. 서론Ⅱ. 냉전기 한반도 유사시 일본의 기지 제공Ⅲ. 탈냉전기 한반도 유사와 자위대의 후방지역지원Ⅳ. 아베 정부의 안보 정책과 한반도 유사Ⅴ. 평가 및 함의
Ⅰ. 서론 Ⅱ. 보호주의의 이론과 현실Ⅲ. 21세기 보호주의의 진화와 변용Ⅳ. 미국 주도 ‘신뢰가치사슬(TVC)’ 구축Ⅴ. 결론
Ⅰ. 서론Ⅱ. 한반도 중립화론의 기원: 1882~1894Ⅲ. 한반도 중립화의 모색: 1895~1902Ⅳ. 한반도 중립화의 좌절: 1902~1905Ⅴ. 결론
Ⅰ. 서론Ⅱ. 북한 외교정책과 대중국정책Ⅲ. 김정은 체제 초기 북한의 대중국정책(2012)Ⅳ. 북한 핵무력 강화기의 북한의 대중국 갈등외교(2013-2017)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이후 북한의 대중국 협력외교(2018-2021)Ⅵ. 결론
Ⅰ. 서론Ⅱ. 포스트-팬데믹 국제관계의 개념화Ⅲ. 포스트-팬데믹 국제체제 전환Ⅳ. 포스트-팬데믹 국제체제와 중견국 외교 Ⅴ. 정책적 함의
Ⅰ. 서론Ⅱ. 한·중 간 역사·문화 갈등Ⅲ. 갈등 심화의 배경: 중국의 민족·국가·문화 인식Ⅳ. 중국의 소수민족 인식과 정책Ⅴ.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과 조선족의 인식Ⅵ.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