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교안보연구소 홈페이지
외교부
국립외교원
ENGLISH
지역
주제
프로그램
발간자료
멀티미디어
IFANS소개
검색영역 열기
검색
검색영역 닫기
메뉴
외교부
국립외교원
ENGLISH
지역
한반도
일본
중국
아시아 대양주
북미
중남미
유럽/러시아
중동/아프리카
주제
안보통일
미-중 관계
국제법
경제통상
글로벌이슈
외교사
한중일협력
인태전략
프로그램
서울외교포럼
IFANS Talks
서울국제법아카데미
발간자료
IFANS FOCUS
IFANS PERSPECTIVES
주요국제문제분석
정책연구시리즈
국제정세전망
일본정세
중국정세보고
국제법정책연구
한국외교구술기록총서
한국외교협상사례
IFANS 연구총서
IFANS STUDY REPORT
기타
멀티미디어
국제회의
연구소행사
IFANS Talks
IFANS Dialogue
IFANS 소개
인사말
조직도
공지사항
학술회의 신청
언론속의 IFANS
오시는길
닫기
지역
한반도
일본
중국
아시아 대양주
북미
중남미
유럽/러시아
중동/아프리카
주제
안보통일
미-중 관계
국제법
경제통상
글로벌이슈
외교사
한중일협력
인태전략
프로그램
서울외교포럼
IFANS Talks
서울국제법아카데미
발간자료
IFANS FOCUS
IFANS PERSPECTIVES
주요국제문제분석
정책연구시리즈
국제정세전망
일본정세
중국정세보고
국제법정책연구
한국외교구술기록총서
한국외교협상사례
IFANS 연구총서
IFANS STUDY REPORT
기타
멀티미디어
국제회의
연구소행사
IFANS Talks
IFANS Dialogue
IFANS 소개
인사말
조직도
공지사항
학술회의 신청
언론속의 IFANS
오시는길
메뉴 닫기
주요국제문제분석
모디 3기 인도 정부의 대외정책 전망과 시사점
조원득 인도태평양연구부 조교수
발행일
2024-06-17
조회수
3647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이메일
이메일 보내기
*
모든 항목은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
받는 사람 이메일
*
컨텐츠 주소
*
제목
*
메시지
취소
보내기
프린트
1. 서론
2. 모디 정부 10년 대외정책 평가
3. 모디 3기 정부의 주요 대외정책 방향
4. 향후 전망
5. 정책적 시사점
<요약>
o
지난
4
월
19
일부터
6
월
1
일까지 인도에서는 총
44
일간 약
9
억
7
천만 명의 유권자가 참여하는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선거가 치러졌으며
,
당초 압승을 예상했으나 모디 총리가 이끄는
인도인민당(
Bharatiya Janata Party, BJP)
이 단독 과반 획득에는 실패함
.
-
이번 선거는 인도 연방하원(
Lok Sabha)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로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는 인도의 정부 구성을 결정하는 선거이며
, 5
년 임기로 인도 하원에서 총
543
석을 선출함
.
-
단일 정당이나 연합정당이 집권하려면 총
543
석의 과반수인
272
석 이상을 확보해야 함
.
o
집권 여당인 인도인민당은
2014
년 선거에서
282
석
, 2019
년 선거에서
303
석을 획득하여 연이어 단독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였지만
,
이번 선거에서는 예상과 달리 인도인민당이
63
석이 줄어든
240
석을 차지하면서 단독 과반을 획득하지 못하고 국정 운영을 위해 연립정부를 구성하게 되었음
.
-
모디 집권
10
년 동안 인도는 미
-
중 경쟁 심화의 최대 수혜국 중 하나로 미국과 협력을 통해 실질적 이익을 이끌어내며
,
코로나
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지난
3
년(
2021-23
년)
동안 평균
7%
이상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함
.
-
또한 인도 내 글로벌 기업의 투자 유치
,
국내 인프라 개선 확대
,
그리고
G20
의 성공적 개최
, G7
회의에의 지속적 초청
,
글로벌 사우스 협력 주도 등 국제사회에서 역할 확대로 인해 인도의 위상이 전례 없이 높아짐
.
-
하지만
,
이러한 거시 경제에서의 성장과 글로벌 위상 변화에도 불구하고
,
급증하는 청년 실업과 같은 생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에 대한 국내 불만이 선거에서 저조한 성적표를 받게 된 주요 요인으로 꼽힘
.
-
무엇보다도 전통적으로 인도인민당은 우세 지역이었던 우타르 프라데시(
Uttar Pradesh)
에서
29
석을 잃어
33
석을 획득하였으며
,
상대적으로 지역 정당인 사마지와디당(
Samajwadi Party)
이 영향력을 키워 이전 보다
32
석을 더 확보하여
37
석을 획득함
.
o
이번 총선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에도 불구하고
,
전반적인 외교정책 방향성은 대체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
특히 모디 총리가 인도 독립
100
주년이 되는
2047
년까지 인도를 선진국 대열에 올리겠다는 목표와 비전을 제시한바
,
향후 이를 실행에 옮기는 방향을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됨
.
o
이 보고서는 모디 집권
10
년을 평가하고 모디
3
기 정부의 대외정책 방향과 전망을 논의하고자 함
.
-
전망을 바탕으로 모디
3
기 출범 이후 한국의 대인도 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
* 붙임 참고
#모디
#인도
#인도태평양
#인도총선
#한인도
다운로드
주요국제문제분석 2024-10(조원득).pdf
이전글
2024 가자 사태: 이스라엘의 딜레마와 국제정치적 함의
다음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사이버 인지전: 전개양상과 함의
이전
메뉴 담당자 정보 안내
메뉴담당자
연구행정과
전화
02-3497-7760